중고차량 취등록세, 시가표준액, 세금 면제, 계산방법 총정리

요즘처럼 차값도 비싸고 기름값도 껑충 뛴 상황에서 새 차는 부담스럽고, 그렇다고 차 없이 살기엔 너무 불편하잖아요.

그래서 저도 고민 끝에 중고차를 알아보기 시작했어요. 아이 학원 보내고, 장 보러 다니고, 병원도 들릴 일이 많다 보니 대중교통으로는 너무 힘들더라구요.

결국 중고차를 사기로 결심하고 나니까, 바로 부딪힌 게 ‘취등록세’였어요.

처음엔 그냥 차값만 있으면 끝나는 줄 알았는데, 생각보다 부대비용이 꽤 많더라구요.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이었던 게 바로 취등록세였고요.

이번 글에서는 제가 직접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하고 납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, 시가표준액, 세금 면제 조건, 계산방법까지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볼게요.

왜 이걸 알아봐야 했냐면…

중고차 구매하면서 처음으로 세금이란 걸 진지하게 따져봤어요. 예전엔 자동차세만 신경 썼는데, 중고차 살 때 들어가는 세금도 꽤 컸어요.

제가 산 차량은 2017년식 아반떼 AD, 거래가는 860만 원이었어요.

근데 여기서 궁금한 게 생긴 거죠. “중고차니까 감가가 반영된 가격일 텐데, 세금은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지?”

알아보니 차량 실매매가가 아니라 ‘시가표준액’ 기준으로 계산된다고 하더라구요.

그래서 중고차 딜러 말만 믿고 있다가 낭패볼 뻔했어요. 실제로 취등록세가 생각보다 더 나와서 당황했거든요.

시가표준액은 어떻게 확인했냐면

정말 간단해요.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해서 자동차 시가표준액 조회하는 메뉴가 있어요.

차량 종류, 연식, 제조사, 모델명만 정확히 입력하면 시가표준액이 딱 나와요.

제가 산 아반떼 AD는 당시 시가표준액이 약 1,020만 원으로 책정돼 있었어요.
제가 거래한 금액은 860만 원이었는데, 세금은 이 1,020만 원 기준으로 계산되는 거였죠.

이거 모르고 거래가 기준인 줄 알고 있었으면 분명 세금보고 깜짝 놀랐을 거예요. 딜러가 안 알려주니까 직접 확인하는 게 진짜 중요하더라구요.

세금 면제나 감면 조건은 뭘까?

알아보니 특정 조건에서는 취등록세가 면제되거나 감면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.

예를 들어

  • 국가유공자

  • 장애인 등록 차량

  • 다자녀 가정

  • 경차 구입 시

이런 경우는 면제 혹은 감면 혜택이 있어요.

저는 해당사항이 없어서 혜택은 못 받았지만, 경차 생각하시는 분들은 진지하게 알아보셔도 좋아요. 실제로 경차는 취등록세가 아예 면제되기도 하거든요.

만약 중고차를 사면서 돈이 빠듯한 상황이라면, 감면 대상이 되는지 꼭 먼저 확인해보셔야 해요.

계산방법, 저도 처음엔 헷갈렸어요

제가 했던 계산을 그대로 설명해드릴게요.

기본적으로 중고차 취등록세는 **차량 시가표준액의 7%**라고 생각하시면 돼요.

단, 승용차 기준이고, 다른 차종은 세율이 달라요.

예를 들어, 시가표준액이 1,020만 원이면

  • 취득세는 1,020만 원 × 7% = 714,000원

이게 끝이 아니에요. 여기서

  • 지방교육세 30% (취득세의)

  • 농어촌특별세 (경우에 따라)

이렇게 부가세처럼 추가가 붙어요.

저는 서울시라 농어촌특별세는 없었고, 지방교육세 71,400원이 붙어서

  • 785,400원을 납부했어요.

차값만 생각하고 있었다면 꽤 당황할 뻔했죠. 솔직히 말해서, 딜러도 세금 이야기는 흐리게 말해요.

납부는 어떻게 했냐면

세무서 안 가도 돼요.

차량 등록을 하러 갔을 때, 자동차 등록사업소 안에서 바로 세금 납부도 가능했어요.
신분증이랑 차량 매매계약서만 챙겨가면 담당 직원이 알아서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계산해주고,
바로 카드로 납부도 가능해요.

저는 등록하면서 세금도 한 번에 냈는데, 카드 결제도 되니까 부담은 좀 덜했어요.

물론 무이자 할부 이런 건 안 되더라구요. 그래서 아예 준비해서 간 게 다행이었어요.

느낀 점, 솔직히 말하면

솔직히 말하면, 처음엔 “중고차인데 무슨 세금이 이렇게 많아?” 하는 마음이 컸어요.

근데 차라는 게 단순히 중고냐 새차냐를 떠나서 ‘자산’으로 분류되니까, 세금도 따라붙는 거겠더라구요.

이런 세금 구조를 모르고 차량 구매하면, 나중에 예상 못 한 돈이 한꺼번에 나가서 진짜 당황하게 돼요.

저처럼 직접 홈택스 들어가서 시가표준액 확인해보고, 딜러 말만 믿지 않고 따져보는 습관이 필요하더라구요.

중고차 구매 전 알아두면 좋은 팁

  • 홈택스 자동차 시가표준액 조회 꼭 해보기

  • 중고차 딜러 견적받을 때 세금 포함인지 아닌지 명확하게 확인하기

  • 경차, 국가유공자, 장애인, 다자녀 가족이면 감면 대상인지 확인하기

  • 취등록세 계산은 시가표준액 × 7% + 지방교육세까지 생각하기

  • 등록사업소에서 카드 결제 가능, 무이자 할부는 어려움

 

마무리하며

중고차는 차값이 싸다고 무조건 이득이 아니더라구요.
부대비용까지 제대로 따져봐야 진짜 좋은 거래예요.

차는 한 번 사면 몇 년은 탈 물건이라서, 사는 순간부터 꼼꼼하게 준비하는 게 진짜 중요하다는 걸 이번에 몸소 깨달았어요.

중고차 살 때는 차값보다 취등록세 먼저 확인하세요. 예상 외 지출은 미리 막을 수 있어요!